반응형

2025/10 7

Spring Data JPA 커스텀 쿼리 활용법

Spring Data JPA 커스텀 쿼리 활용법Spring Data JPA는 기본적인 CRUD 기능을 제공하지만, 실제 프로젝트에서는 단순한 메서드 이름 기반 쿼리만으로는 복잡한 조회 요구사항을 모두 처리하기 어렵습니다. 이때 필요한 것이 커스텀 쿼리(Custom Query)입니다. 본 글에서는 @Query 애노테이션, 네이티브 쿼리, Querydsl 등 실무에서 자주 사용하는 방법과 최적화 팁을 정리합니다. 1. @Query를 활용한 JPQL 커스텀 쿼리Spring Data JPA에서는 @Query 애노테이션을 사용하여 JPQL(Java Persistence Query Language)로 직접 쿼리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회원(Member) 엔티티에서 이름으로 조회하는 경우:public in..

java 2025.10.07

JPA 성능 튜닝 팁 (Hibernate & JPA 최적화 전략)

JPA 성능 튜닝 팁 (Hibernate & JPA 최적화 전략)JPA를 활용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성능 저하 문제는 대부분 데이터 조회와 관련된 이슈에서 발생합니다.특히 연관 관계가 많은 엔티티를 조회할 때 발생하는 N+1 문제, 불필요한 쿼리, 캐시 미활용 등은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무에서 적용할 수 있는 JPA 성능 최적화 전략을 구체적인 예제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1. N+1 문제 이해 및 해결N+1 문제는 JPA에서 가장 대표적인 성능 문제 중 하나입니다.예를 들어, Member와 Team 엔티티가 @ManyToOne 관계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모든 회원을 조회하면서 팀 정보를 출력하면 다음과 같이 동작합니다.List members = em.createQuery("s..

java 2025.10.06

Hibernate N+1 문제 해결 방법 (JPA 성능 최적화)

Hibernate N+1 문제 해결 방법 (JPA 성능 최적화)JPA나 Hibernate를 사용하다 보면 N+1 문제라는 말을 자주 듣게 됩니다.데이터 조회 성능에서 가장 대표적인 함정이라고도 할 수 있는데요.이번 글에서는 N+1 문제의 개념을 이해하고, 실제 코드 예제와 함께 다양한 해결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N+1 문제란 무엇일까?N+1 문제는 보통 연관 관계가 걸린 엔티티를 조회할 때 발생합니다.예를 들어, Member와 Team이 @ManyToOne 관계라고 가정해봅시다.@Entitypublic class Member {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ManyToOne(fetch = FetchType..

java 2025.10.05

Java 성능 최적화 + JVM 튜닝 / 가비지 컬렉션(GC) 조정

Java 성능 최적화 + JVM 튜닝 / 가비지 컬렉션(GC) 조정자바(Java) 애플리케이션을 운영하다 보면 “왜 이렇게 느려졌지?”라는 순간을 마주하게 됩니다.대부분의 경우 원인은 메모리 관리와 가비지 컬렉션(GC)에 있어요.오늘은 Java 성능 최적화와 함께 JVM 튜닝, 그리고 GC 조정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JVM 메모리 구조 이해하기JVM은 크게 Heap, Stack, Metaspace 등으로 나눠집니다. 성능 문제는 대부분 Heap 영역과 관련이 있어요.Young Generation → 새로 생성된 객체가 머무는 공간Old Generation → 오래 살아남은 객체가 이동하는 공간Metaspace → 클래스 메타데이터 저장 공간GC는 주기적으로 Heap을 정리하는데, 이 과..

java 2025.10.04

Java Project Loom 이해하기

Java Project Loom 이해하기최근 자바 진영에서 가장 큰 화두 중 하나가 바로 Project Loom입니다.기존의 스레드 기반 동시성 모델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등장한 이 프로젝트는 Virtual Thread(가상 스레드)라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했어요. 오늘은 Loom의 기초 개념과 코드 예제를 통해, 여러분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드리겠습니다.1. 기존 자바 스레드 모델의 한계자바는 오래전부터 Thread 클래스를 통해 동시성을 지원해왔습니다.하지만 전통적인 스레드는 운영체제(OS) 레벨 스레드와 1:1로 매핑되기 때문에, 수천~수만 개의 스레드를 동시에 생성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했습니다. 그 결과:스레드 생성 비용이 크다컨텍스트 스위칭(Context Switching) 비용이 높..

java 2025.10.03

Java 병렬처리 가이드: Thread, Executor, ForkJoinPool, Parallel Stream

Java 병렬처리 가이드: Thread, Executor, ForkJoinPool, Parallel Stream오늘은 많은 개발자들이 헷갈려 하는 Java 병렬처리(Parallel Processing)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병렬처리는 CPU의 멀티코어를 최대한 활용해서 대규모 데이터 처리나 고성능 연산을 빠르게 끝내는 핵심 기술이에요.특히 최근 서버 애플리케이션이나 빅데이터 처리에서 빠질 수 없는 개념이죠. 1. 병렬처리와 동시성의 차이먼저 개념부터 짚고 가야 해요.동시성(Concurrency): 여러 작업이 번갈아 가며 실행되는 것 (싱글코어에서도 가능)병렬성(Parallelism): 여러 작업이 실제로 동시에 실행되는 것 (멀티코어 필요)Java에서는 Thread, ExecutorService, F..

java 2025.10.02

Spring Security + JWT 통합 인증 구현 방법

Spring Security + JWT 통합 인증 구현 방법안녕하세요! 오늘은 많은 개발자분들이 궁금해하는 Spring Security + JWT(JSON Web Token) 통합 인증 구현 방법을 단계별로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OAuth2처럼 외부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고, 자체 로그인 시스템을 만들고 싶은 경우 JWT는 아주 유용합니다. 그럼, 시작해보겠습니다! 1. 왜 JWT를 사용할까?JWT는 사용자의 인증 상태를 토큰에 담아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주고받는 방식이에요.서버가 세션을 직접 관리할 필요가 없으니 무상태(stateless) 아키텍처에 딱 맞죠.세션 저장소가 필요 없음 → 확장성(Scalability) 확보모바일, 웹 클라이언트 등 다양한 환경에서 쉽게 사용 가능Access Token + ..

java 2025.10.01
반응형